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3)
자작문제 내용영역함수의 연속 직선의 방정식 도함수의 활용 이등분선행동영역절대값-> 0이 되는 값을 기준으로 분석 케이스분류배경지식임의의 실수라는 말은 어떤 실수에 대해서 만족 즉 모든 실수랑 거의 같은 의미입니다해설h(t)는 직선 g(t)(x-t) +f(t)에서 x= p일때라는 말이고 g(t)는 x 좌우극한의 곱이 -1이므로 서로 수직이고 t>a에서 (a,f(a))와 (t,f(t))를 지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직인 두 직선이 모든 점에서 절대값이 같아야 하므로 x축이 두 직선을 수직 이등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f(a) = 0이고 f'(a) = 1 or -1이다. 그리고 나)조건에서 a,0,-a가 근이므로 a가 음수일때 h(t)의 직선이 (0,f(0)), (-a,f(-a)), (a,f(a))를 ..
2022학년도 11월 대수능 해야 하는 사고 과정 복잡한 방정식은 이항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합성합수는 속함수를 치환하는게 좋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작문항을 풀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작문제 내용영역삼차함수 변곡점 대칭성 합성함수 함수의 연속 조건행동영역합성함수는 정의역(속함수) 분석 특이한 정의역에 주목하라풀이특이정의역에 주목하여 f(q)= 0이 1차근일때 g(q+) = k라 하면 g(q) = 0 g(q-) = -k 이고 f(k)=f(0) = f(-k)를 만족시키는 것은 근과계수의 관계(사실은 변곡점 대칭성)에 의해 x = 0에서 변곡점을 가짐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f'(-2p) = sqrt(3)p를 만족시키는 p를 구할 수 있습니다 나름 괜찮은 문제이고 연속성을 따지려니 22번 기출에 나온 표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자작문제 내용영역기함수간 교점의 대칭성 방정식의 근은 두 함수의 교점이다 합성함수 삼차함수 변곡점 대칭성행동영역복잡한 방정식은 이항을 통해 가시적인 함수로 나타낸다 복잡하면 치환하라 미정된 함수에 대해 확실한 정보를 기반으로 개형을 찾아나가라풀이이항을 통해서 f(f(x)) = - tan ( pi*f(x)/6)으로 바꿀 수 있고 둘이 서로 같은 점을 기준으로 기함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t= f(x)로 치환하면 t = 특정 값 일때 교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니까 f(x) = k에 대해서 근의 개수가 7개이려면 3개 3개 1개 또는 3개 2개 2개입니다. 하지만 그래프를 그려보신다면 3개 3개 한개는 모든 근의 합이 0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3개 2개 2개일때 y= k의 직선과 삼차함..
2023 고3 9월 평가원 7번 별거 없는 풀이 여기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수열에서 곱으로 이루어진 수열이면 무조건 두개의 항으로 나누어서 생각해야 합니다. 간단해보이는 문제가 킬러소재로 나온다는 것입니다
물체 궤도 시뮬레이터 by unity 메커니즘 중력의 영향을 받는 벡터를 g라 하고 초기속력에 의한 벡터를 v라 할때 v_n+1 = v_n+g_n이고 abs(g) 는 두 행성의 뉴턴 법칙을 이용해서 구현했다 영상
샤인미 모의고사 22번 해설 솔직히 이 문제는 너무 복잡도가 높고 호흡도 길고 샤인미를 대표하지 않는 문제 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이런문제도 풀어보면서 배울 점이 있다는 것이 목적입니다 일단 개념영역이 평가원이 바라는 개념영역과 이 문제를 현장에서 풀기 위한 개념영역이 조금 어느 정도 미리 유도를 해봐야 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행동영역만 다루겠습니다.행동영역적분함수는 피적분함수를 그려본다. 평행이동시 원래 함수를 점선으로 표현하자 포장의 기술을 해독하자 특이한 정의역을 기준으로 분류하자 변곡점 대칭성의 비율관계를 이용하자 정석적 풀이와 실전적 저의 표기방식을 나누어서 설명할 계획이고 그림이 필연적이라 글씨를 잘 써보겠습니다풀이사실관계 파악 이후 f(x)와 적분함수의 개형 찾기적분함수를 h(x)라고 하겠습니다. 먼저 파악할 수 있는 ..
2019 9월 평가원 나형 30번 빠르고 정확한 풀이 문제 리뷰 이 문제는 매우 좋은 문제입니다. 먼저 한 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등차수열이라는 것을 통해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참신하기 때문입니다. 정석적 풀이 먼저 등차인거 확인하시고 방정식 세우고 접선의 방정식 연립하면 됩니다. 빠르고 정확한 풀이 f(x) = x(x+1)(x-1)(x-2) + mx + n이라 하면 x(x+1)(x-1)(x-2)가 x=1/2 대칭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과 2는 1/2와 대칭이므로 두 접선도 대칭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습니다. x(x+1)(x-1)(x-2)에서 두 접선을 그었다면 x=1/2에서 항상 만났겠지만 문제는 mx+n 위에서도 그렇냐 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mx + n 위에서도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mx+n을 x축으로 하는 함수가 있다고 치면..